-
[Blockchain] 이더리움 가스 (Gas) / 가스 단위
가스(수수료)를 지불하는 이유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는 달리,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수행되는 모든 연산에 대해 ‘가스(Gas)’라는 수수료를 부과한다 수수료를 부과하는 이유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위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작업들이 ‘전체 노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이더리움은 튜링 완전 언어 (솔리디티)이기 때문에, 튜링 불완전한 비트코인 ‘스크립트’ 와는 달리 반복문을 지원한다 그러나 반복문의 가장 큰 단점은 ‘무한 루프 🔄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악의적인👹 사용자가 큰 자원을 소모하는 ‘무한 루프🔄 코드’가 들어있는 ... Read More
-
[Blockchain] 이더리움 가상머신 EVM (Ethereum Virtual Machine) / Geth
EVM(Ethereum Virtual Machine)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리해주는 컴퓨터 EVM은 작성한 코드와 이더리움 블록체인 사이에 있는 ‘가상 머신’이다 블록체인에서 코드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한 ‘dApp’은 솔리디티 라는 언어로 작성된다 솔리디티로 작성된 dApp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올려야 한다 ‘솔리디티’ 언어는 고급 언어이기 때문에 EVM은 솔리디티를 읽을 수 없다 그래서 작성한 솔리디티 코드를 ‘solc’를 이용해 컴파일하여 EVM이 읽을 수 ... Read More
-
[Blockchain]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 / 오라클 문제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 스마트 컨트랙트란 블록체인 기반으로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 공증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것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호스팅되고 실행되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직접 계약 조건과 내용을 코딩할 수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계약을 이더리움 플랫폼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일반적인 중앙 집중식 서버가 아니라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에서 실행하기 때문에, 계약 조건이나 이행 내용을 변조하기 어려우며 계약을 신뢰하기 위한 제 ... Read More
-
[Blockchain] 지갑(Wallet) 종류 / 핫 월렛 / 콜드 월렛
핫 월렛 vs 콜드 월렛 핫 월렛(Hot Wallet)과 콜드 월렛(Cold Wallet)의 차이점은 단순히 암호화 지갑 유형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이다 ‘핫 월렛’ 은 인터넷 액세스가 개인 정보 / 보안 위험 때문에 덜 안전한 암호화폐 지갑 이지만 훨씬 더 사용자 친화적인 지갑이다 ‘콜드 월렛’ 은 암호화폐의 “콜드 스토리지” 에 사용되는 암호화폐 지갑 유형으로 보안 강화를 위해 오프라인에 저장된다 일상적인 거래를 위해 가지고 다니는 지갑이라기 보다는, 금고에 가깝다 핫 월렛(Hot Wallet) 유형 웹 월렛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 Read More
-
[Blockchain] FT & NFT & SFT / ERC-20 / ERC-721 / ERC-1155
코인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채굴’하는, 채굴자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암호화폐 토큰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구현된, 별개의 생태계를 위해 사용되는 지역화폐 FT (Fungible Token) FT는 대체가능한 토큰 (스왑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지역화폐 ‘De-Fi’ 에서는 다른 코인 또는 토큰과 함께 페어(Pair)로 예치되어, 유동성 풀을 제공한다 이 유동성 풀을 통해 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의 모든 사용자는 다른 토큰 또는 코인으로 환전할 수 있다 (스왑기능) ... Read More
-
[Blockchain] 탈중앙화 자율조직 DAO & ICO & DAICO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는 탈중앙화 자율조직 중앙화된 소유주 없이 자율적으로 구성원들이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분산화 되어 있는 시스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개입 없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을 의미 DAO는 생산기능을 최대화하며 그 작업을 계산 가능한 상호작용 작업으로 분할하며, 해당 작업들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 대표적인 예시로 ‘이더리움’이 DAO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암호화폐이다 ICO (Initial C... Read More
-
[Blockchain] CBDC (중앙 은행 디지털 화폐)
CBDC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 은행 디지털 화폐) 한국은행같은 각 국가의 ‘중앙은행’ 이 전자적 형태로 발행하는 법정화폐 가치 변동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실시간으로 가격이 변하는 암호화폐와는 다르다 ⭐ 발행방식은 정보의 보관과 관리를 중앙은행이 하는 ‘단일원장방식’과 다수의 거래 참가자가 거래기록을 관리하는 ‘분산원장방식’ 모두 활용가능하다 장점 CBDC가 발행되면 현금 도난과 제작 비용을 줄일수 있다 거래 신속성을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하드포크 & 소프트포크
하드포크 (Hardfork) ‘하드포크’ 는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체인이 만들어지는 것 블록체인의 ‘기본 기능 자체’를 수정하는 포크 블록체인의 문제 해결 및 업그레이드 방식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 블록체인과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블록체인이 된다 소프트포크 (Softfork) ‘소프트포크’ 는 문제를 해결하고 원래의 블록체인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 기존 블록체인의 ‘기능을 일부’ 수정하는 포크 소프트포크를 하면, 기존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변...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네트워크 노드 & 노드의 종류 (Node)
노드 (Node) 네트워크에 ‘장치’ 또는 ‘데이터 지점’ 을 의미한다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어서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 를 지칭한다 P2P(Peer to Peer) 로 연결되어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블록 정보를 가지는 ‘각각의 서버’ 를 노드(Node)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수십만개 이상이 존재하는 ‘서버’들을 노드(Node)라고 한다 노드의 종류 💻 풀 노드 (Full Node) 모든 기능을 다 가지고 있는 노드 블록체인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 정보를 전부 저장하는 노드 ... Read More
-
[Blockchain]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 코인과 토큰의 차이 / 채굴
코인 ↔ 토큰 코인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채굴’하는, 채굴자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암호화폐 토큰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구현된, 별개의 생태계를 위해 사용되는 지역화폐 👉 ‘토큰’ 은 사용될 수 있는 곳이, 발행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제한된다 그러나 이 지역화폐는, 코인처럼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탈중앙화 금융(De-Fi)’ 하나의 토큰을 거버넌스 토큰으로 정하고, 이 거버넌스 토큰을 중심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한다 👉 ex) 클레이스왑 이 생태계 내에서 새롭게 발행한 토큰을 자산처럼 취...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