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ckchain] 탈중앙화 거래소 DEX (Decentralized Exchange)
DEX (Decentralized Exchange) DEX(Decentralized Exchange)란, ‘디앱(DApp)의 다양한 기능’ 중 하나이며 ‘탈중앙화 거래소’ 를 말한다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중앙화 거래소(Centralized Exchange)와 달리 ↔ ‘P2P 방식’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DEX)이다 일반적인 중앙화 거래소(CEX)가 가지고 있는 보안, 투명성, 효율성의 부재로 인한 대안으로 생기게 되었다 ⭐ 중앙화 거래소 (CEX) 👉 빗썸 / 업비트 / 바이낸스 / 코인베이스 등 ⭐ ... Read More
-
[Blockchain] 탈중앙화 분산 앱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이란, 이더리움, 퀀텀, 이오스 같은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분산 앱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dApp의 암호화폐는 코인(Coin)이라고 하지 않고 토큰(Token)이라고 구별하여 부른다 dApp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스마트 컨트랙트가 없는 비트코인에는 dApp이 존재하지 않는다 dApp은 ‘스마트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에서 구동된다 📱 플랫폼 코인을 운영체제라고 한다면, / 그 위에서 돌아가는 앱이 디앱이다 ...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의 보안적 이슈 (51% 공격 / 시빌 공격 등)
51% 공격 단일 주체나 조직이 ‘50% 이상의 해시 레이트’(채굴파워)를 가지게 될 경우, 👉 트랜잭션이 승인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 트랜잭션 순서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 채굴자들이 채굴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채굴 작업을⛏ 독점할 수 있다 비트코인에서 해당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규모가 작은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발생할 수도 있다 레이스 공격 (Race Attacks) 동일한 자금을 사용하는 ‘두 개의 충돌하는 트랜잭션’이 연속으로 전송되지만, 하나의 트랜잭션만 승인되는 것 두 개의 충돌하는 트랜잭션 중 자... Read More
-
[Blockchain] 시드 키 / 니모닉 코드 단어 (Mnemonic)
니모닉 코드 단어 니모닉(Mnemonic)이란 결정적 지갑에서 난수를 12개의 영단어로 인코딩한 영단어 그룹으로, ‘BIP39’ 에서 제안되었다 기존의 ‘시드 키’는 숫자와 문자로 구성된 난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웠지만, ‘니모닉 코드 단어’의 경우 사용자가 기억하고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드 키 979644bfb6b6206792bdd6a071b3a00daebfb84ac5e3d81fa8c87a… 니모닉 코드 단어 endless convince patrol calm apology scene ... Read More
-
[Blockchain] 공개 키 (=비대칭 키) / 암호화 &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 디지털 서명은 메시지나 디지털 문서의 ‘진위성 & 무결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하는 수학적 메커니즘, 메시지나 문서에 첨부된 코드이다 손으로 쓴 서명 & 도장의 디지털 버전, 복잡하며 보안이 우수하다 디지털 서명은 디지털 통신에서 변조 및 사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문서 / 거래 / 메시지의 출처 / 신원 / 상태에 대한 보증을 제공한다 대칭 키 암호 방식 🔐 대칭 암호화 방식은 여러 사용자 사이에 공유된 단일 키를 기반으로 한다 하나의 ...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해시함수 / 해싱 / SHA-256
해시함수 해싱(Hashing) 은 다양한 크기의 입력값을 /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으로 생성해 내는 과정이다 암호 해시 함수는 블록체인 및 다양한 분산 시스템에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 👉 기존의 해싱은 데이터베이스 조회 / 파일 분석 / 데이터 관리 등에 사용되어왔다 👉 암호 해시 함수는 메시지 인증 / 디지털 서명 등 보안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어떠한 크기의 입력이 들어와도 ‘동일한 크기의 출력’을 뱉는 함수다 ‘SHA-256 알고리즘’은 어떤 입력값을 넣어도 256 비트 길이의 값을 출력한다...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CAP 이론 & PACELC 이론
CAP 이론 CAP 이론은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할 허용(Network Partition)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일관성(Consistency) / 가용성(Availability)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일관성’과 ‘가용성’ 중 ‘하나만 가질 수 있다’는 이론이다 (블록체인 트릴레마와 비슷한 개념) ‘모든’ 노드에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일관성’을 지키되 ‘가용성’을 포기할 것인가? 혹은 ‘일부’ 노드에만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가용성’을 지키되 ‘일관성’를 포기할 것인가? CAP 요소 분할 허용(P, Partition Toleran... Read More
-
[Blockchain] 세그윗(SegWit) & 탭루트(Taproot) - 비트코인 소프트포크
세그윗(SegWit) 소프트 포크 2017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비트코인’ 은 ‘세그윗(SegWit)’이라는 소프트포크(Soft Fork)를 진행 비트코인의 블록에서 디지털 서명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이다 TPS (초당 트랜잭션 처리 수) 를 늘려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시도 중 가장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세그윗(SegWit)입니다. 탭루트(Taproot) 소프트 포크 탭루트는 2017년‘세그윗 도입 이후’ 4년만에 진행된 ‘비트코인 소프트포크’이다 (21년 6월 12일 ...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에서의 블룸필터 (Bloom Filter) & 프루닝(Pruning)
블룸필터 (Bloom Filter) 블룸필터는 특정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지 검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확률형 자료 구조 블룸필터는 비트코인 언리미티드(Bitcoin Unlimited) 팀이 노드에 알려지지 않은 거래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블룸 필터에 의해 어떤 원소가 집합에 속한다고 판단된 경우 실제로는 원소가 집합에 속하지 않는 긍정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원소가 집합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실제로는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 부정 오류는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 집합에 원소를... Read More
-
[Blockchain] 트랜잭션 검증 / 머클 트리 & 머클 패트리샤 트리
머클 트리 (Merkle tree) 머클 트리는 일련의 ‘데이터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검증(증명)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이다 머클 트리 구조의 핵심에는 ‘해시 함수’가 있다 머클 트리는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며 생성되며, ‘머클 루트’를 형성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해시화된다 이후 데이터 조각이 잘못된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검증(수정)할 수 있다 큰 장점은 하위 트리를 분석하여 데이터가 트리 내에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전체 정보를 비교하며 특정 트랜잭션이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