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 코인과 토큰의 차이 / 채굴
코인 ↔ 토큰 / 토큰 이코노미 / 크립토 이코노미 / 채굴
코인 ↔ 토큰
코인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채굴’하는, 채굴자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암호화폐
토큰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구현된, 별개의 생태계를 위해 사용되는 지역화폐
👉 ‘토큰’ 은 사용될 수 있는 곳이, 발행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제한된다
그러나 이 지역화폐는, 코인처럼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탈중앙화 금융(De-Fi)’
-
하나의 토큰을 거버넌스 토큰으로 정하고, 이 거버넌스 토큰을 중심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한다
👉 ex) 클레이스왑 -
이 생태계 내에서 새롭게 발행한 토큰을 자산처럼 취급하여, 거버넌스 토큰과 소통하며 생태계를 구성한다
-
‘De-Fi’ 에서는 거버넌스 토큰을 예치(스테이킹; Staking)하고, 토큰과 코인 또는 토큰과 토큰사이의 거래 수수료를 예치한 사람들에게 '재분배'하는 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
-
이처럼 '토큰'을 기반으로 새롭게 생성된 생태계를 ‘토큰 이코노미’라고 하며,
‘토큰 이코노미’가 여럿 모여서 ‘크립토 이코노미’를 실현한다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
토큰 이코노미는 어떤 행동에 대해 '토큰'을 보상함으로써 특정 행동을 유도하는 경제 생태계
-
보상으로 주어지는 ‘토큰’은, 다른 유형의 물건이나 다른 서비스와 교환할 수 있는 ‘지역화폐’이다
-
‘블록체인’과 ‘토큰 이코노미’가 결합했을 때의 특징은 발생하는 이익을 다수가 나눈다는 것이다
-
또 자신의 토큰이 속해있는 네트워크가 커질수록 토큰의 가치 또한 커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서비스에 참여하게 된다
SNS dApp ‘스팀잇’
스팀잇은 암호화폐 중 하나인 ‘스팀(Steem)’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블록체인 기반 SNS 시스템’으로 이다
👉 콘텐츠를 올리는 사용자들에게 토큰으로 보상을 주는 ‘토큰 이코노미’의 사례로 볼 수 있다
크립토 이코노미(Crypto Economy)
-
블록체인의 ‘마이닝(채굴)’⛏ 코인을 기반으로 한 ‘토큰 이코노미’를 말한다
-
이처럼 '토큰'을 기반으로 새롭게 생성된 생태계를 ‘토큰 이코노미’라고 하며,
‘토큰 이코노미’가 여럿 모여서 ‘크립토 이코노미’를 실현한다
채굴(Mining)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로 트랜잭션을 검증하여 ‘분산원장’을 기록하고,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얻는 걸 뜻하며 땅을 파서 광물 따위를 캐내는 행위에서 유래한 용어
비트코인 채굴자가 하는 일
- 네트워크 동기화
- 트랜잭션 검증
- 블록 유효성 검사
- 새로운 블록 생성
- 작업 증명(PoW) 수행
- 보상 수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