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ckchain] Safety & Liveness / Tendermint (틴더민트)
Safety 시스템에 나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의미 모든 정상적인 참여자는 같은 상태에 동의하여야 하고, 그 상태는 유효해야 한다 문제없는 노드 사이에서는 잘못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Liveness 시스템은 항상 살아 있어야 한다는 의미 결국에는 어떤 상태에 동의하여야 하고, 모든 참여자는 동의된 상태에 도달해야한다 문제없는 노드들은 반드시 합의를 한다 Liveness over Safety 사토시 나카모토가 처음 제안하였기 때문에 ‘Nakamoto Cons...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소 방안 / 이더리움 2.0 / 샤딩 / 레이어 2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암호화폐들은 탈중앙화, 보안성, 확장성의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하나 또는 최대 두 개까지만 해결할 수 있고, 세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현재로서는 물리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1세대 👉 2세대 👉 3세대 로 이어지는 블록체인의 등장은 사실상 ‘트릴레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1세대 👉 비트코인 2세대 👉 이더리움 3세대 👉 이오스, 트론, 에이다, 이오스트 등 ‘탈중앙화’와 ‘보안성’에 초점을 맞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경우, 사용자 수가 아주 많은 지금에 와서는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매우 느려서 문제가 되고 있다 블록체인이 ‘확장...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트릴레마 / 확장성 / 탈중앙화 / 보안성
블록체인 트릴레마 (Blockchain Trilemma) 3가지의 문제가 각각 서로 영향을 주고있어서, 3가지 중 어느 것을 선택하면 다른 부분이 악화된다는 의미 세 가지 요소를 모두 만족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한다 확장성(Scalability)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보안(Security)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사례 비트코인 높은 탈중앙화와 보안성은 확보했으나 확장성의 한계로 트릴레마 발생 탈중앙화와 보안에 초점을 맞춰 개발 되었으며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트랜잭션 속도에 대한 확장성 문제 발생 이더리움 확장성 한계로 트릴레마 발생...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의 거버넌스(Governance) / BIP / EIP / ERC / KIP
블록체인의 거버넌스 (Governance)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간의 이해관계 조정이 필요했는데, 이러한 수요로 탄생한 개념이 바로 ‘거버넌스(Governance)’ 이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다양한 커뮤니티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존재한다 비트코인의 ‘BIP’, 이더리움의 ‘EIP’, 개발자 포럼이나 여러가지 커뮤니티 등을 통해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잡고있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오프체인 거버넌스’와 ‘온체인 거버넌스’로 나누어진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하드포크가 발생하는 것은 ‘오프체인 ...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지갑(Wallet) / UTXO
지갑(Wallet) 👛 블록체인 지갑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고 개인 및 공개 키를 저장하고 해당 키와 관련된 🔑 모든 트랜잭션을 블록 체인에 모니터링하고 유지하는 소프트웨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계정을 말한다 데스크톱 (PC) 지갑 모바일 지갑 하드웨어 지갑 웹 지갑 주소(공개 키, Public Key)와 암호(개인 키, Private Key)로 구성되어 있다 지갑의 주소(공개 키)는 다른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송금할 수 있도록 공개해도 되지만, 개인 암호(개인 키)는 오직 지갑 소유자 본인만 알고 있어야 함 어카운트(Account) 이더리움 주소(...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POW / POS / DPOS / BFT)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다수의 참여자들이 통일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 합의 모델 / 합의 방식 / 합의 메커니즘 / 합의 프로토콜 이라고도 불린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경우 통일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위 있는 중앙(Center)이 존재하지 않는다 블록체인의 데이터는 중앙화된 서버 대신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노드에 보관되기 때문에, 각각의 노드들은 블록에 기록하는 데이터가 위변조되지 않은 ‘원본’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상호간에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누군가 악의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하려고 해도 다수...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의 구조 / 트랜잭션 & 논스 / 멤풀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이란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을 가리키는 약어 A.C.I.D 를 통해 트랜잭션의 특성을 알 수 있다 트랜잭션은 쉽게 생각해서 은행 앱에서 쓰이는 이체 데이터와 같다 ⭐ 예를들어 은행 어플으로 어떤 사람에게 돈을 이체하고 싶은 경우 💸 받을사람의 계좌번호, 금액 등의 정보를 작성하고 이체 버튼을 누르면 은행 앱에서는 전산상에 해당 거래내역을 등록함으로써 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 분산원장기술 & 중앙집중원장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거래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화된 서버가 아닌 P2P (Peer-to-Peer) 분산화된 네트워크에서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하는 기술 ✍ 공유원장 또는 분산원장기술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광범위하게 널리 분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분산(Distributed) 거래내역이 기록된 장부를 의미하는 원장(Ledger) 분산과 원장이 합쳐진 ‘분산원장’은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이다 ⭐ 원장(Ledger) : ... Read More
-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 & 프라이빗 블록체인 & 컨소시엄 블록체인
공개 범위에 따른 블록체인 🔗 블록체인은 활용되는 목적 또는 공개 범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그 종류에 따라 나눌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하이브리드 블록체인(hybrid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은 ‘개방형’ 블록체인으로 누구나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할 수 있는 블록체인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Read More
-
[Blockchain] 블록체인이란 / 블록 & 체인 & 블록생성 & 채굴 & 노드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의 핵심은 인터넷 상에 있는 사람들과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는 것 누구나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데이터는 한 번 추가되면,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개인이나 단체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함께 관리한다. 블록 (Block) ‘블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블록에는 자산에 대한 정보를 담거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해서 담는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블록의 구성은 어떤 종류의 데이...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