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블록체인 분산원장기술 & 중앙집중원장
분산원장기술 / 중앙집중원장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거래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화된 서버가 아닌
P2P (Peer-to-Peer) 분산화된 네트워크에서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하는 기술 ✍
-
공유원장 또는 분산원장기술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광범위하게 널리 분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분산(Distributed)
-
거래내역이 기록된 장부를 의미하는 원장(Ledger)
-
분산과 원장이 합쳐진 ‘분산원장’은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이다
⭐ 원장(Ledger) : 거래 정보가 기록된 ‘장부’ 📜
기존의 여러 서비스는 ‘중앙집중원장’의 형태를 띄고 있다 🏦
오늘날 여러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은행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알아서
잘 관리하고 처리해줄 것이라는 신뢰가 뒷받침되어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기관, 기업에게 신뢰비용(수수료 등)을 지불하고,
그들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데이터를 보관(보안)하고 활용했었다
하지만 기존 중앙집중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취약점을 알게 모르게 겪어 왔다
분산원장과 블록체인
‘원장’은 거래 내역의 집합(장부)이며, 📜
> ‘블록체인’은 원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 중 하나이다 🔗
-
블록체인은 특정 기술들이 추가된 분산원장의 한 종류이다
-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내 모든 노드들이 새로운 블록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난 후에, 블록을 체인에 추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산원장과 블록체인의 차이점
블록 구조
- ‘블록체인’은 일반적으로 블록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 ‘분산원장’은 여러 노드에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 ‘분산원장’은 블록 형식이 아닌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순서
- ‘블록체인’은 모든 블록이 직전 블록을 가리키며 순서대로 배열된다
- ‘분산원장’은 모든 데이터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지는 않다
블록 생성 매커니즘
- ‘블록체인’ 에서는 블록을 생성할 노드를 정하기 위해 PoW, PoS 와 같은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
- 이러란 메커니즘은 자원을 소모한다
- ‘분산원장’ 에서는 블록을 경쟁적으로 생성하지 않는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토큰
-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자원을 소모한 노드에게 보상으로 코인(=화폐)을 제공한다 🪙
분산원장기술의 장점
분산원장기술의 장점은 중앙 집중형 방식에 비해
- 인증과 증명의 효율성
- 시스템 안정성
- 보안성
- 투명성 이다
기존 시스템의 경우 ‘인증’과 ‘데이터 거래 증명’을 위해
여러 중간 매개체 또는 인증기관이 필요했지만
‘분산원장’은 사용자가 거래 내역을
직접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차별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중앙화된 시스템을 관리시
사용되는 비용이 줄어들고 거래 정보가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해킹 및 위조의 위험성도 낮아진다
개인 지갑 사이의 거래
-
분산원장기술의 장점으로 인해, 개인과 개인이 직접 거래할 수 있다 중앙기관(은행 등)으로부터 벗어난 거래가 가능하다
-
중앙기관으로부터 벗어나 화폐를 개인과 개인이 직접 거래할 수 있게되면, 해외송금에 걸리는 시간이나 비용이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
이로 인해 비용과 시간의 문제가 해결되고, 분산원장기술로 보안문제도 해결된다 🔐
-
분산원장기술로 인해 국내외의 물리적 거리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거래 상대에게 송금할 수 있다 💸
중앙집중원장 (Centralized Ledger)
-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는 기존의 여러 서비스와 은행시스템은 중앙집중원장의 형태를 띄고 있다
-
중앙집중원장은 서비스 제공자가 데이터를 잘 관리하고 처리해줄 것이라는 강한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
우리는 이 신뢰에 대한 댓가로 수수료를 지불한다
중앙집중원장의 취약점
비용 문제
- 중앙집중형 관리시스템은 거래자들에게 과도한 관리 & 중개수수료를 청구한다
-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 관리하기 위해 많은 보안유지비용을 지출한다
- 금융권의 경우 매년 천문학적인 돈을 보안인프라에 투자하기도 한다
- 그 비용은 모두 우리에게 부담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시간 문제
- 중앙집중형 관리시스템은 상호거래의 프로세스 전반에 많은 중간다리가 포함되어 있기에 시간과 비용 측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 보험사, 해운사 등등 많은 미들맨(Middleman)들이 존재할 경우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
보안 문제
- 중앙집중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해커들의 공격대상은 오직 중앙 데이터베이스가 된다
- 해커가 공격에 성공하면 중앙의 있는 모든 데이터 보안이 뚫리게 된다
- (Single point of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