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세그윗(SegWit) & 탭루트(Taproot) - 비트코인 소프트포크
슈노르 서명 / 서명 통합 / 서명 가변성 / 소프트 포크
세그윗(SegWit) 소프트 포크
-
2017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비트코인’ 은 ‘세그윗(SegWit)’이라는 소프트포크(Soft Fork)를 진행
-
비트코인의 블록에서 디지털 서명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이다
-
TPS (초당 트랜잭션 처리 수) 를 늘려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시도 중 가장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세그윗(SegWit)입니다.
탭루트(Taproot) 소프트 포크
-
탭루트는 2017년‘세그윗 도입 이후’ 4년만에 진행된 ‘비트코인 소프트포크’이다 (21년 6월 12일 승인)
-
다중 서명을 포함한 모든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이동 과정을 모든 사람이 볼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에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탭루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며 '프라이버시에 개선'
👉트랜잭션에 '여러 기능이 포함'되더라도 '단일한 하나'의 트랜잭션처럼 보이게
-
탭루트 업그레이드의 특징(장점)은 프라이버시 / 확장성 /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비트코인 스크립트 작동 방식’에 변화를 준다는 것이다
👉블록체인상에서 '전송 및 저장' 해야 하는 데이터 양의 '감소'
👉블록 당 '더 많은' 트랜잭션 처리 (더 높은 TPS 비율)
👉보다 '저렴한' 트랜잭션 수수료
-
탭루트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서명📜을 더 이상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서명 가변성(Signature Malleability)
서명 가변성이란 트랜잭션이 승인되기 전에 서명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
👉 서명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보안 위협 중 하나였다
- 탭루트 업그레이드에 포함된 주요 기능은 ‘슈노르 서명’ 이다
슈노르 서명 📜
- 슈노르 서명은 여러 장점들 중에서도 슈노르 서명은 ‘짧은 서명을 생성’하는 데 있어 간결하고 효율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트코인이 처음 채택한 서명 체계는 ‘타원 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ECDSA)’이었다 처음에 '슈노르 서명' 대신 'ECDSA 서명'을 선택한 이유는,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고 있었고, 안전하고, 튼튼하고, 오픈 소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슈노르 디지털 서명 체계(SDSS) 의 개발은,
비트코인 및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서명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 슈노르 서명의 장점은 복잡한 비트코인 트랜잭션 내에 다수의 키를 포함 할 수 있다
- 단일하고 고유한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 트랜잭션에 포함된 ‘다수의 주체’가 진행한 서명이 ‘단일한’ 슈노르 서명으로 ‘통합’될 수 있다
- 서명 통합(Signature Aggregation)이라고도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