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탈중앙화 분산 앱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 토큰이코노미 /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
dApp이란, 이더리움, 퀀텀, 이오스 같은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분산 앱
-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dApp의 암호화폐는 코인(Coin)이라고 하지 않고 토큰(Token)이라고 구별하여 부른다
-
dApp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스마트 컨트랙트가 없는 비트코인에는 dApp이 존재하지 않는다
dApp은 ‘스마트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에서 구동된다 📱
-
플랫폼 코인을 운영체제라고 한다면, / 그 위에서 돌아가는 앱이 디앱이다
-
iOS 전용으로 개발된 앱을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수 없는 것처럼,
디앱도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행할 수 없다고 보면 된다
블록체인을 ‘OS’라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또한, 어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동되는지에 따라 이더리움 디앱, 이오스 디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dApp과 App의 차이
-
dApp은 사용자가 계정을 생성하는 절차부터 앱과 다르다
-
일반 앱에 회원가입을 할 때는 개인정보를 입력해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 후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그러나 dApp의 경우는 계정을 만들 때, 이더리움, 이오스 등 해당 블록체인 지갑을 보유해야 한다
👉 해당 블록체인 서비스에 참여함으로써, 보상으로 받는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거래하기 위한 지갑을 준비해야 한다
이더리움 기반 디앱은 이더리움 지갑을 / 이오스 기반 디앱은 이오스 지갑을 갖춰야 한다
dApp 개발과 기존 앱 개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얼마나 엄격하게, 정밀하게 점검하느냐이다
dApp은 ‘소프트웨어 개발보다’는 ‘하드웨어 개발’과 더 비슷합니다.
어떤 회사가 하드웨어를 완성했다면, 제품을 공개하기 전에 반드시 엄격하고 정밀하게 테스트를 한 후 공개해야 하고, 하드웨어 개발이 끝난 뒤 공개되었을 때,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생긴다면 기존 소프트웨어 수정보다 훨씬 더 많은 돈과 시간을 요구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dApp 개발에서 스마트 계약이 메인넷에서 ‘한번 실행되면 절대 변경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이와 반대로 기존 앱 개발은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맞춰 새로운 서비스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는 것에 집중하는 편입니다.
개발자로서 최소한의 실행 가능한 제품
즉, MVPs를 만들고 사람들이 직접 테스트하게 한 후 가능한 한 빨리 업데이트된 버전을 출시하는 것이 요새 앱 개발의 추세이지만
현재 dApp 개발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추세입니다.
dApp의 특징
탈중앙화
-
dApp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성격을 지니고 있다
-
일반적인 앱은 중앙화된 방식을 따르며, ‘중앙 서버의 관리’를 받는다
👉 때문에 중앙 관리자인 구글과 애플 등 ‘기업이 정보를 소유’하는 구조이다
👉 반면, dApp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중앙 서버없이’ 정보를 분산해 저장하고 구동하게 된다 ✨
위·변조 불가
-
dApp은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해 정보 보호 특면에서 장점을 지닌다
-
일반 앱을 다운 받을 때 동의하는 개인 정보 수집, 위치 정보 등이 다른 서비스 개발에 이용되거나 유출되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 dApp은 중요한 개인 정보는 ‘블록체인 상에 안전하게 보관’되기 때문에 무단으로 유출될 위험이 적다
가동성
-
dApp 내에는 동일한 정보를 보유한 블록이 많기 때문에 일부 블록이 다운되어도 앱 이용에 문제가 없다
-
기존 앱은 모든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 서버가 다운되면 정보를 조회할 수 없지만,
👉 dApp은 네트워크 사고가 발생해도 즉시 같은 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블록에 접근’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
-
dApp의 생태계는 광고를 사용하는 일반 앱과는 달리 ‘자체적인 토큰을 발행’함으로써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 갈 수 있다
https://wavescats.github.io/blockchain/2022/05/09/bc12.html
👆 (토큰 이코노미 정리 참고)
dApp의 문제점
느린 속도와 이용에 따른 비용 문제
-
dApp 초기에는 ‘대부분 이더리움 기반’이었으나,
현재는 해당 문제점을 보완한 이오스와 트론 등 새로운 블록체인들이 성장하고 있다 -
이더리움의 초당 거래 수(TPS)는 20건임에 반해, 이오스는 3000건, 트론은 2000건으로 거래 속도가 점점 개선되고있다
사용자 편의성 문제
-
전통적인 앱에 비해, dApp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적다’
👉 이는 여전히 블록체인을 이해하고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절차가 일반 사람들에게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
그래서 이 절차를 쉽게 학습시키는 것만으로도 유저 유입이 증가할 것이다
-
실제로 2019년 초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dApp 개발자들은
적은 사용자 수(67%)와 / 불편한 사용자 경험(44%)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왔다
가상통화(암호화폐)의 변덕스러운 시세
-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한 테더(Tether)’를 포함하여
-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들이 많이 등장했으며 이들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에 따라 다른 규제적인 문제
-
가격 변동성, 투기성 등의 ‘부정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는 지역들은 블록체인과 dApp에 대한 규제가 강하다
-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dApp 보다는 생활의 편의성과 편리성에 기여할 수 있는 dApp 출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