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lang] 하이퍼레저 패브릭 1.4ver 개발환경 세팅 (Hyperledger Fabric)
하이퍼레저 패브릭 / VirtualBox / fabric / 리눅스 / 우분투
블록체인 서비스
블록체인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 파트로 나눠진다
1. 블록체인 네트워크 (Blockchain Network)
- 👉 ex) 이더리움, 솔라나, 폴리곤, 하이퍼레저 패브릭 등
2. 체인 코드 (Chain code) = 스마트 컨트랙트
- 하이퍼레저 패브릭 👉 Go lang / Java / Javascript (Node js)
- 이더리움 👉 솔리디티
- 솔라나 👉 러스트
3. 디앱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 프론트엔드
- 백엔드
퍼블릭 블록체인
- 이더리움, 솔라나, 폴리곤, 폴카닷, 클레이튼 등
👉 솔리디티, 러스트 언어로 코드를 작성
⭐ ‘퍼블릭 블록체인’ 에서는 Go 언어가 쓰이지 않는다프라이빗 블록체인
- 하이퍼레저 패브릭
👉 Go 언어로 코드를 작성
VirtualBox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Peer , Orderer 등) 리눅스 환경이 필요하다
👉 ‘VirtualBox 가상머신’ 을 실행하여 리눅스(우분투) 환경을 세팅해준다
https://www.virtualbox.org/
(👆 Oracle VM VirtualBox 설치)https://packages.ubuntu.com/search?keywords=fabric
(👆 우분투 fabric 이미지 파일 다운)
⭐ Mac O/S 노트북이어도 ‘fabric 개발환경 세팅’ 이 완료된 이미지를 사용하려면 VirtualBox 를 설치하는 게 좋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개발환경 세팅
⭐ 하이퍼레저 패브릭 1.4 ver 기준
-1. VirtualBox 가상머신 을 실행한다
- VirtualBox 를 실행해서
-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로 ova 이미지 파일을 가져온다 (우분투 fabric 이미지 파일)
- 가져온 이미지 파일을 실행
- 리눅스 환경의 O/S 가상머신이 구성된다
-2. VS Code로 들어와서 Extensions
탭에서 ‘SSH FS’ 를 설치해준다
-3. SSH 사용 설정을 한다
- SSH FS설치가 완료되면 옆에 탭이 생긴다
Create a SSH FS Configuration
클릭- 사용할 이름을 적어준다
- 생성된 파일을 설정하고
Save
- Host 👉 내가 접속하고자 하는 원격 주소
- Port 👉 SSH의 Default Port 값은 22
- Root 👉 SSH로 접근했을때 처음 시작하는 폴더를 어디로 할것인지
- Username 👉 윈도우처럼 로그인할때 쓰이는 계정을 만든다
- Password 👉 해당계정의 비밀번호
-4. 설정을 끝냈으면 Open remote SSH terminal
클릭
VirtualBox 가상머신으로 실행된 우분투 환경이
VS Code 터미널에서 원격으로 접속이 된다
-5. 원격 접속이 됐다면 Add as Workspace folder
클릭
개발을 시작할 수 있게 폴더구조가 형성된걸 볼 수 있다!
-6. 폴더구조 안에 경로를 통해 ‘쉘 스크립트’ 를 실행
폴더 경로 ~/fabric/fabric-samples/fabcar
./startFabric.sh
👈 ‘쉘 스크립트’ 실행 명렁어
-7.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확인해본다
docker ps -a
👈 명령어를 입력하면
지금 현재 돌아가고있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볼수 있다⭐ fabric 이미지 파일에 도커도 설치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