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가십프로토콜 (Gossip protocol)
Gossip protocol / Epidemic protocol / the novel gossip about gossip protocol / Hedera Hashgraph / HBAR
가십프로토콜 (Gossip protocol)
소문이 빠르게 퍼져나가는 모습(Gossip)과 유사한 형태
Orderer가 트랜잭션을 커미터에 배포할 때나 Peer에 장애가 발생해 지연된 분산 원장을 복귀하기 위한 동기화 처리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블록체인 네트워크 성능 / 보안 및 확장성을 최적화하는 프로토콜이다
-
클러스터에 있는 노드 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토콜이다
-
소셜 네트워크가 정보를 퍼뜨리는 방식 / 유행병이 퍼지는 방식에 기반한 컴퓨터간 통신의 절차
-
바이러스가 퍼지는 방식과도 유사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전염병(유행성) 프로토콜(epidemic protocol)’ 이라고도 불린다
-
Epidemic protocol = Gossip protocol
-
가십은 하나의 합의를 보는 게 아니라 정보들을 다수의 노드로부터 인증 받아 하나의 합의를 이끌어 낸다
-
마스터가 없는 대신 각 노드가 주기적으로 ‘UDT/TCP’ 로 서로 메타 정보를 주고 받는다
-
가십 프로토콜의 Peer는 원장과 채널 확장이 가능한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가십프로토콜 예시
-
A, B, C…라는 사람들이 모여 A가 어떤 내용을 B에게 이야기 한다
-
이때, 말한시간과 A가 B에게 무슨 내용을 말했는지 모두 기록한다
-
B도 C에게 전달할 내용을 전달하고 모두 기록한다
-
그리고 모든 정보가 모두에게 빠르게 퍼진다
-
많은 내용이 전달 되더라도 A가 B에게 언제 어떤내용을 말하였는지, B는 C에게 무엇을 말하였는지 모두 기록되어 있고, 모두가 아는 사실이 된다
-
그러면서 랜덤으로 한가지 소문에 대해서 맞는정보인지 틀린정보인지 확인을 하게된다
-
이미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보니 여러 절차를 생략하고 빠르고 쉽게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
가십프로토콜을 적용한 토큰
헤데라 해시그래프 (Hedera Hashgraph ; HBAR)
-
가십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커뮤니티안에서 노드들은 서로간에 신속하고 효율성 있게 데이터 교환을 진행
-
더 나벌 가십 어바우트 가십 프로토콜 (the novel “gossip about gossip” protocol)
-
자동적으로 해시그래프 데이터 구조를 생성
-
해시그래프 데이터 구조에는 암호화 보안방식이 적용되어 있고 커뮤니티 안의 거래역사를 가지고 있다
-
노드들은 이를 입력 값으로 다른 노드들과 동등한 가상투표 합의 알고리즘을 실행
-
커뮤니티는 인터넷상에서 다른 통신거래가 없이 순서와 타임스탬프(time stamp)의 합의를 이룬다